종교별 상장례
종교별 상장례 진행을 알아봅니다.
☑ 기독
☑ 기독교식 장례 특징
⊙ 곡(哭)을 하지 않고 음식도 차리지 않으며 절도하지 않는다.
⊙ 조석(朝夕)으로 전과 상식(上食)을 올리지 않고 염습할 때에 묶지도 않는다.
⊙ 영결식은 영구를 교회에 행하거나 빈소에서 행하는 경우가 있으며, 분향 대신 영전에 꽃 한 송이씩 바친다.
⊙ 일반 문상객을 위해 분향을 준비하기도 한다.
☑ 영결식 순서
⊙ 각 종파 또는 집례 목사마다 다르게 하는 경우 있다.
⊙ 개식사(목사)→찬송 → 기도 → 성경 봉독 → 시편 낭독 → 신약 낭독 → 기도 → 고인의 약력보고 → 주기도문 → 찬송(모든 사람들이 다같이) → 헌화 → 출관
☑ 하관식 순서
⊙ 개식사(목사)→기원 → 찬송 → 기도 → 성경 봉독 → 낭독 → 신앙고백 → 취토(喪主들이 흙 한줌씩 관 위에 뿌리는 행위) → 축도
📝 종교별 상장례 간략 정리
◎ 기독교📋 의례과정 / 기독교식 장례 특징 / 영결식 순서 / 하관식 순서
◎ 천주교 📋 종부성사 임종전 대사 / 운명 / 초상
◎ 불교 📋 염불 순서 / 다비식(茶毘式)